IT/IT 상식

[IT 상식] 웹, 앱으로 수익화하는 방법 (feat. 조코딩)

크몽 '경매하는 개발자' 님의 경매/부동산/IT/사업 채널 2022. 11. 26. 23:11
반응형

[IT 상식] 웹, 앱으로 수익화하는 방법 (feat. 조코딩)

 어느날 부동산 계산기 웹사이트를 이용하면서 문득 '이 웹사이트는 서버비, 개발비 다 내면서 어떻게 돈을 버는거지?' 궁금증이 생겼다. 특정 현금창출하는 방법이 아무리 생각해봐도 없는 것 같아서 말이다. 금일은 웹, 앱서비스를 런칭하고 이를 수익화하는 방법에 대해 조코딩님의 유튜브를 참고하여 작성해보고자 한다.

반응형

 


1. 유료앱

 - 보통 7:3의 비율로 앱 마켓과 나누어 갖는다. 1000원짜리 앱을 하나 팔면 700원이 남는 것이다

 - 아무래도 유료앱은 다운받기가 꺼려지니 정말 재미있거나 유용한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 주로 카메라 앱이나 유료 게임이 많이 선택하는 방법이다.

 

 

2. 광고

 - 가장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익 모델이다. 

 - 광고를 다는 방법 1) 구글 애드센스, 애드몹, 카카오 애드핏 등 애드네트워크(혹은 어필리에이트) 서비스를 이용

  • 여기서 제공해주는 광고를 받아서 쓰는 방법이다.

  - 광고를 다는 방법 2) 직접 광고를 할 수 있도록 만들고 특정 업체와 계약하는 방법

  • 수익은 CPM(광고 노출당 비용), CPC(광고 클릭당 비용) 등 방식이 있다.

 

3. 유료 결제

 - 앱 다운은 무료지만 결제 시스템을 통해 아이템이나 유료 포인트 혹은 실물 제품 등을 유료 판매, 대여해주는 방식

 - 게임 아이템 판매, 웹툰이나 소설 미리보기 기능, 개인 쇼핑몰 처럼 결제를 통한 실물 제품 제공 등의 방식

 - 결제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인앱 결제를 붙이면 이것도 마켓과 7:3의 비율로 나누어 갖는다.

 - 다른 결제 모듈을 붙인다면 계약 PG업체에 따라 결제 금액의 약 3% 내외의 수수료가 부과된다.

반응형

 

4. 구독

 - 넷플릭스와 같은 OTT서비스, 음악 스트리밍, 오디오 북 등 컨텐츠나 서비스를 무제한으로 제공하고 이용료를 정기적으로 받는 방식

 - 경매정보사이트에서도 사용하기도 함

 - 기업 입장에서 관리할 지표도 단순하고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요즘 대세

 

 

5. 수수료

 - 서비스를 중계하는 플랫폼을 제공해주고 중간에서 수수료를 받아가는 방식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G마켓 등 판매자들과 구매자들을 이어주면서 중간에서 수수료를 받아감. 

 - 배달의 민족, 요기요와 같은 배달앱에서도 가게 점주와 구매자들을 이어주면서 수수료를 받아감.

 - 마켓지배력이 커야 하는 단점이 있음

 

 

 

6. 데이터

 -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개인정보나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확보하여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를 하는 방법

 - 페이스북의 경우 유저의 회원 정보와 좋아요나 팔로우한 관심사 정보 등을 수집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광고주에 적합하게 제공하여 수익 창출

 - 아마도 부동산 계산기는 데이터를 활용한 2차 비즈니스를 타겟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됨

 - 데이터 판매 시 이용자 동의가 무엇보다 중요함. 

 - 50만 다운로드를 기록한 나쁜기억지우개라는 고민을 털어놓는 앱이 있었는데 이용자들이 작성한 이런 민감한 고민 관련 데이터를 월 사용 500만원에 판매하려고 했다가 논란이 된 사례도 있었음.

 

반응형

 

7. 크라우드 소싱

 - 대중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

 - 대중들의 무심코 한 단순한 행동을 이용하여 수익의 수단으로 활용

 - 리캡차 프로그램의 경우 자동 가입 방지를 위한 문자 입력 서비스인 리캡차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예

 - 사용자들은 자동 가입 방지 문자를 입력하면서 동시에 알아보기 힘든 오래된 책에 써있는 문자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업무를 수행 하게 됨. (하루평균 2000만 단어나 수정이 되었다고 하는데 상당한 수익 예상)

 - 최근에는 구글에서 이미지 인식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리캡차로 자동차가 있는 타일을 선택하세요처럼 인공지능의 인식 능력을 강화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음

 - 번역앱 플리토 처럼 유저에게 보상을 주고 번역 서비스를 대중에게 맡기는 등의 수익 모델도 있음

 

 

8.  매각

 - 애초에 남이 만들어 달라는 서비스를 개발해서 매각하는 외주 개발로 수익을 창출

 - 자신의 아이디어로 만든 앱을 키워서 (서비스 자체 or 주식을)매각하는 방법

 - 최근에 배달의 민족이 약 4 8천억원에 딜리버리히어로에 지분 매각

 - 부동산 계산기도 매각을 통한 출구전략을 타겟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추측됨

 

반응형

 


<참고 영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