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사업자/세금

[4대보험 ①] 근로자 유형별 4대 보험 의무 가입 대상 완벽 정리

크몽 '경매하는 개발자' 님의 경매/부동산/IT/사업 채널 2022. 1. 9. 13:50
반응형

[4대보험 ①] 근로자 유형별 4대 보험 의무 가입 대상 완벽 정리

반응형

 

※ 주휴수당, 휴게시간 관련내용 아래 링크 확인

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방법

 


★ 2022년 4대보험 요율이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사업주께서는 근로자의 4대보험요율(1원단위 절삭) 적용하여 원천징수 후 급여를 지급하세요. ★

 

1. 근로자의 유형

 

  1) 상용근로자 (정규직) : 고용계약기간 1년 이상 또는 기간이 정해져있지 않은 근로자

    - 임금근로자 중 개인, 가구, 사업체와 1년 이상의 고용계약을 맺은 사람 또는 일정한 기간의 고용계약을 하지 않았으나 정해진 채용절차에 따라 입사하여 인사관리규정을 적용받거나 상여금, 퇴직금 등 각종 수혜를 받는 사람을 말한다.

    - 근속기간이 1년 이상일지라도 계약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임시 또는 일용인 경우에는 상용 근로자가 아니다.
    - 실제 근무한 기간(근속기간)이 1년 이하일지라도 상용직으로 계약하고 채용된 경우 상용 근로자이다.

 

  2) 기간제 근로자 (계약직) : 고용계약기간 1년 미만의 근로자

     ① 임시근로자 : 고용계약기간 1개월 이상 ~ 1년 미만인 근로자

     ② 일용근로자 : 고용계약기간 1개월 미만인 근로자

반응형

 


2. 근로자의 유형별 주소정근로시간

근로자의 유형  주소정근로시간
상용근로자 (계약 1년 이상) 40시간 (월 160시간)
단시간 근로자 (계약 1년 미만) 15 ~ 39시간 (월 60 ~ 159시간)
초단시간 근로자 (계약 1년 미만) ~15시간 (월 ~60시간)
일용근로자 (계약 1개월 미만) 30일 이내 근무

3. 근로자 유형별 4대보험 의무가입 및 제외대상 

 

※ 4대보험 : 고용/산재/국민/건강보험

 

  1) 4대보험 의무가입 대상 & 제외대상

구분 의무가입대상 제외대상
고용보험 모든 근로자
① 초단시간 근로자 (3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 가입은 가능)
산재보험 없음
국민연금 18세 미만이거나 60세 이상인 근로자
② 타공적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등) 가입자
③ 일용근로자
④ 초단시간 근로자 (3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 가입은 가능)
건강보험 ① 일용근로자
② 초단시간 근로자

 

  2) 근로자 유형별 의무가입 대상

근로자 유형 근로계약기간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상용근로자
(주40)
1년이상(무기한)  O O O O
단시간 근로자
(주15~40)
 1개월 이상  O O O O
1개월 미만 O O X X
계약기간 없음 O O O O
초단시간 근로자
(주 15미만)
3개월 미만 연속근무함 X O X X
3개월 이상 연속근무함 O X

O : 의무가입대상

△ : 원한다면 가입 가능 (의무가입대상 X)

X : 가입 불가능

반응형

 


Q1. 채용했는데, 한달을 못버티고 퇴사하는 경우 고용보험 신고는?

근로계약기간
(실제근로일 상관없음)
1개월미만 1개월이상
신고방법 근로내역 확인신고 취득신고(상실신고)

 

Q2. 4대보험에 가입하지 않으면 과태료?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100만원 100만원 50만원 500만원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