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크몽 '경매하는 개발자' 님의 경매/부동산/IT/사업 채널
경매하는 개발자
크몽 '경매하는 개발자' 님의 경매/부동산/IT/사업 채널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29)
    • IT (128)
      • 아두이노 (6)
      • C C++ (17)
      • C C++ 컴파일 에러 (3)
      • LINUX (3)
      • Git (1)
      • OpenGL (0)
      • IT 상식 (38)
      • EXCEL & VBA (9)
      • 정보처리기사 (20)
      • 무작정 웹사이트 만들기 (6)
      • 포토샵 (3)
      • 파이썬 & vscode (16)
      • 머신러닝 & 인공지능 & 데이터사이언스 (5)
    • 부동산 (91)
      • 부동산일반 (31)
      • 세금 (6)
      • 경매 (46)
      • 법, 소송 (8)
    • 개인사업자 (43)
      • 할 일 (11)
      • 꿀팁 (9)
      • 세금 (14)
      • 지원사업 (8)
    • 독후감 (25)
      • 독후감 (25)
    • 경제 (4)
      • 거시경제 (4)
    • Tistory (34)
      • 티스토리 (23)
      • 애드센스 (11)
    • 기타 (4)
      • 에세이 (2)
      • 퇴사준비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개인사업자
  • 온비드공인인증서
  • 세금계산서
  • 확정일자
  • 일반과세자
  • 경매
  • 전자세금계산서
  • 티스토리애드센스
  • 온비드공동인증서
  • 부의추월차선독후감
  • 공매
  • 전입신고
  • 부의추월차선서평
  • 부의추월차선요약
  • 부가가치세
  • 부의추월차선
  • 부의추월차선리뷰
  • 부의추월차선줄거리
  • 온비드공매
  • 애드센스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크몽 '경매하는 개발자' 님의 경매/부동산/IT/사업 채널
IT/LINUX

[Linux] 가상머신(VMWare)로 서버 &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Linux] 가상머신(VMWare)로 서버 &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IT/LINUX

[Linux] 가상머신(VMWare)로 서버 &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2021. 3. 7. 16:09
반응형

[Linux] 가상머신(VMWare)로 서버 &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가상머신 소프트웨어인 VMWare 설치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길 바란다.

 

<VMWare 설치방법 바로가기>

 


 

1. 가상 머신 HW 사양 변경

 

 컴퓨터 한 대만으로도 실제 회사와 같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회사의 서버망은 Server, Server(텍스트모드), Client(리눅스용), Client(윈도우용)으로 구축한다. 따라서 아래 표와 같이 각 가상머신의 하드웨어 사양을 정리하였다.

 

* 마우스가 VMWare 가상머신 안에 갖혀있을 경우, Ctrl + Alt를 누르면 됩니다.

 

구분 Server Server(B) Client Windows Client
주요 용도 서버 전용 서버 전용(텍스트 모드) 클라이언트 전용 Windows 클라이언트 전용
OS Fedora Fedora Fedora Windows 10¹
저장 폴더 C:/Fedora19/Server C:/Fedora19/Server(B) C:/Fedora19/Client C:/Fedora19/WinClient
하드 용량² 80GB 40GB 40GB 20GB
메모리 할당³
16GB 기준
4GB 2GB 2GB 4GB
네트워크 타입 NAT 통신 NAT 통신 NAT 통신 NAT 통신

주 1) 필자는 윈도우 7을 설치 할 예정이다. (지금 들고있는 OS가 윈7이라.. 윈도우는 아무거나 설치해도 상관없다.)

주 2) 실제로는 10MB정도밖에 안되지만 마치 저장소가 80GB인 것처럼 가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후 실제 사용하는 용량만큼 점점 늘어난다.

주 3) 컴퓨터 총 메모리에 따라 비례적으로 다르게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가 4GB일 경우, 1GB, 0.5GB, 0.5GB, 1GB 처럼 메모리를 낮추면 된다.

 

 

 

아래와 같이 각각의 가상머신을 설치한다.

 

 

 

 


 

 

2. 가상머신 IP 변경하기

 

가상머신에서 사용하는 가상 IP를 111로 통일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VMWare의 어댑터 IP를 변경해준다.

우리가 궁극적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가상서버망은 아래와 같다.

 

 

  1) 함께 설치된 VMWare Workstation Pro 실행

 

 

 

  2)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클릭

 

 

  3) VMnet8 클릭 - Change Settings 클릭

 

 

 

  4) 가상머신의 IP를 '192.168.111.0'로 변경 후 OK 클릭

 

 

  5) IP 변경 확인

 

시작 - 'cmd' 입력

 

cmd 창에서 'ipconfig' 입력 후 VMnet8의 IPv4 주소가 '192.168.111.1' 로 변경되었는지 확인

 

 

 

 


 

 

3. Linux 운영체제 (Redhat Fedora CentOS 7) 설치하기

 

 Linux 운영체제는 아래처럼 매우 다양하게 배포되어있다. 최근에 데비안 계열의 우분투와 레드햇페도라 계열의 CentOS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Cloud 이슈와 맞물려서 저렴한 비용의 Open Source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Redhat Fedora 계열의 CentOS7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다른 어떤 버전도 상관없습니다.)

 

 

1) Server 설치하기

 

  1) Play Virtual Machine 클릭

 

 

 

 

  2) Install CentOS 7 선택

 

* VMWare 가상머신 밖으로 나오고 싶을 경우, Ctrl + Alt를 누르면 됩니다.

 

 

 

 

  3) 시간 설정

 

 'DATA & TIME' 클릭 - 지도에서 대한민국을 클릭 - 'Done' 클릭

 

 

 

 

 

  4) 한글 키보드 추가

 

  'KEYBOARD' 클릭 - 좌측 하단에 '+' 클릭 - 'Korean'입력 - Korean 선택 - 'Add' 클릭 - 'Done' 클릭

 

 

 

 

  5) 소프트웨어 선택

 

 'SOFTWARE SELECTION' 클릭 - 'Development and Creative Workstation' 클릭 - 'Done' 클릭

 

* Done을 클릭 한 후 약 1분정도 로딩이 필요하다.

 

 

 

  6) 파티션 생성

 

  'INSTALLATION DESTINATION' 클릭 - 디스크 2번 클릭(V 확인) - Other Storage Options에서 'I will configure partitioning' 클릭 - 'Done' 클릭

 

 

 

  7) 파티션 설정

 

 필수로 생성해야할 파티션은 Root(/) 파티션과 swap 파티션 2개이다. Root(/) 파티션은 운영체제의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파티션이고, swap 파티션은 RAM 부족 시 사용되는 공간이다.

 

swap 파티션 메모리 크기 : swap 파티션은 RAM의 2배 (8GB)

root(/) 파티션 메모리 크기 : 남은 모든 용량 (공란으로 둔다) 

 

    a) swap 파티션 만들기 : 'Standard Partition' 클릭 - 좌측 하단에 '+' 클릭 - Mount이름에 'swap' 입력 - 용량에 RAM의 2배인 '8G' 입력 - 'Add mount point' 클릭

 

 

 

    b) root(/) 파티션 만들기 : 좌측 하단 '+' 클릭 - 이름에 '/' 입력 - 'Add mount point' 클릭 - 'Done' 클릭 - 'Accept Changes' 클릭

 

 

 

 

 

  8) 네트워크 설정 (인터넷 설정)

 

'NETWORK & HOST NAME' 클릭 - 우측 상단 'OFF' 클릭 - 'Done' 클릭 

 

 

 

  9) 설치 진행

 

우측 하단 'Begin Installation' 클릭 - 'ROOT PASSWORD' 클릭 후 Root계정 비밀번호 설정 - 'USER CREATION' 클릭 후 사용자 계정 추가

 

이후 설치완료까지 잠시 대기한다.

 

 

 

이후 기다리면 설치완료 메시지가 뜹니다. 사용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bashrc / .bash_profile 파일 위치  (0) 2021.03.01
[Linux] Command Not Found 해결방법  (2) 2021.02.19
  • [Linux] 가상머신(VMWare)로 서버 & 네트워크 환경 구축하기
  •  
  • 1. 가상 머신 HW 사양 변경
  • 2. 가상머신 IP 변경하기
  • 3. Linux 운영체제 (Redhat Fedora CentOS 7) 설치하기
  • 1) Server 설치하기

크몽 '경매하는 개발자' 님의 경매/부동산/IT/사업 채널

'IT/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bashrc / .bash_profile 파일 위치
  • [Linux] Command Not Found 해결방법
크몽 '경매하는 개발자' 님의 경매/부동산/IT/사업 채널
크몽 '경매하는 개발자' 님의 경매/부동산/IT/사업 채널
크몽 '경매하는 개발자' 님의 경매/부동산/IT/사업 채널입니다.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