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2
필자는 아래 내용들만 다 완벽히 외우고 시험을 치러 갔다. 결과는 합격!
비록 60점으로 합격했지만, 직장인 등 시간이 없는 분들은 이 시리즈만 다 외우고 시험치러가보자!!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1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2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3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4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5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6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7
위 시리즈를 공부할 시간이 없다면?
반응형
<2회>
<V&V 테스트 종류>
- 검증(Verification) : 개발자 관점에서 명세서 보면서 논리적으로 체크(개발과정체크)
- 확인(Validation) : 사용자 관점에서 실제 TC를 만들어 기능 정상작동 체크(개발결과체크)
<메타데이터와 자료사전>
- 메타데이터 : 데이터의 의미 파악을 위한 데이터
- MDR :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용 DB
- 자료사전(DD) : 조직에 속해있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특정 자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려주기 위한 문서
- = + () {} [] ** : 정의 연결 생략가능 반복 선택 주석
<인증기술> : 지소생특
- 지식 기반 인증 : ID/PW
- 소지 기반 인증 : 공인인증서, OTP
- 생체 기반 인증 : 지문, 홍채
- 특징 기반 인증 : 서명, 발걸음, 몸짓
<Tx 주요 특성> : ACID
- Tx 정의 :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작업의 기본단위로, 처리 결과가 All or Nothing으로 나뉨
- Atomicity(원자성) :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작업의 기본단위로, 처리 결과가 All or Nothing으로 나뉨
- Consistency(일관성) : Tx 성공시 DB는 항상 일관됨
- Isolation(격리성) : Tx 중간 연산 결과를 다른 Tx가 접근 불가함
- Durability(영속성) : 완료된 Tx의 DB는 영구 저장됨
반응형
<EAI 구성요소> : 어브비플메(어도비로 풀메)
- EAI :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기업에서 운영되는 이기종 플랫폼/APP을 연계(통합)해주는 솔루션
- 어댑터 : 데이터 입출력도구로 EAI의 핵심엔진
- 브로커 :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 포맷, 소스코드 변환
- 비즈니스 워크플로우 : 기업 내의 workflow대로 업무처리
- EAI 플랫폼 : 이기종 시스템 간 애플리케이션 상호 운영
- 메시지 큐 :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간 데이터 전달
<EAI 구축유형> : 포허메하
<ESB와 EAI 차이>
- ESB : Enterprise Service Bus :: 기업에서 운영되는 이기종 플랫폼/APP을 연계(통합)해주는 솔루션
- ESB : 전사 시스템(서비스) 통합, 메시지 버스만 사용
- EAI : Application 레벨의 통합, 포허메하 모두 사용
<이상현상> : 삽삭갱
- 이상현상(Anomaly) : 데이터를 DB에 저장할 때 데이터 중복으로 릴레이션 조작시 발생하는 이상현상
- 삽입이상 : 데이터가 삽입 실패하는 현상
- 삭제이상 : 데이터 삭제시 공유된 다른 데이터도 삭제되는 현상
- 갱신이상 : 데이터 업데이트 실패하는 현상
반응형
<스크럼기법>
- 스크럼 기법 : 매일매일 정해진 시간, 장소에서 짧게 미팅하는 것
- 백로그 : 요구도
- 스프린트 : 2~4주 짧은 개발기간
- 번다운차트(Burn Down Chart) : 남은 시간 대비 백로그를 그래픽으로 표현한 차트
<페이지 교체기법>
- FIFO(First IN First OUT) : 가장 먼저 들어와 가장 오래 있던 페이지 업데이트
- LRU(Least Recently Used) :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 업데이트
- LFU(Least Frequently Used) : 참조한 횟수가 가장 적은 페이지 업데이트
<페이징기법 문제점과 해결방안> : 스워페
- 스레싱(Thrashing) : 계속적인 Page Fault로 인해 프로세스 처리시간<페이지 교체시간이 되는 현상
- 워킹 세트(Working Set) : 자주 참조되는 Page 집합을 주기억장치에 상주시켜 페이지 교체를 줄이는 기법
- 페이지 부재빈도(PFF) : Page-Fault Frequency :: PF율의 상/하한선을 정해 직접 PF율을 컨트롤하는 기법
반응형
<3회>
<데이터 저장소>
- 데이터 웨어하우스(DW) : 다량의 데이터가 정제되어 저장되어있는 전사 통합 관리 DB로 다차원분석도구(OLAP)를 통해 효율적 의사결정이 가능.
- 데이터 마트(DM) : 특정 조직/특정 사용자가 관심있는 데이터를 담는 작은 규모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 디지털 아카이빙 : 장기보관이 필요한 데이터를 변환/압축/저장하여 DB화하는 작업
- 윈도함수 : OLAP 함수라고도 하며, DB를 OLAP 분석하기 위해 만들어진 표준 SQL에 추가된 함수
<OLAP 종류>
- OLAP :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 DM 또는 DW에 저장되어있는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다차원 분석하는 SW
- MOLAP : 물리적 다차원 DB를 갖는 OLAP
- ROLAP : 서버-클라이언트의 관계형 DB를 갖는 OLAP
- HOLAP : OLAP(속도)+ROLAP(대용량)
- OLTP : Online Tx Processing :: OLAP에서 호스트가 DB에 액세스 후 빠르게 결과 리턴해주는 기술
<OLAP 연산> : 롤드슬다피
- Roll-Up : 구체적데이터 → 요약데이터 접근
- Drill-Down : 요약데이터 → 구체적데이터 접근(더 깊게 드릴다운)
- Slicing : 데이터큐브 중 1조각 열람
- Dicing : 다차원 값 연산
- Pivoting : Cross Table(다차원 테이블)의 차원 변경
반응형
<공유매체 다중접근방식>
- CSMA/CD 방식 : Collision Detection :: 유선 LAN에서 채널 사용중인지 체크 후 전송하는 방식
- CSMA/CA 방식 : Collision Avoidance :: 무선 LAN에서 아예 충돌자체를 회피하여 전송하는 방식
<비즈니스 연속성 용어>
- RTO(Recovery Time Objectives) : 롤백까지 걸리는 시간
- RPO(Recovery Point Objectives) : 롤백 목표 지점
- DRP(Disaster Recovery Plan) : 운영 불가시 대비책 수립
- DRS(Disaster Recovery System) : 통합 재난 복구센터
- DRS 유형 : Mirror Site(RTO 즉시), Hot Site(4시간 이내), Warm Site(수일~수주), Cold Site(수주~수개월)
- BCP(Business Continuity Plan) : 롤백에 대한 계획 수립
- BIA(Business Impact Analysis) : BCP 구축을 위한 장애시 영향성 분석
<라우팅 알고리즘>
- Static : 미리 정적으로 경로정보 라우터에 저장하여 중개
- Dynamic : 그때그때 동적으로 최적경로를 계산하여 변경
- IGP : Internal Gateway Protocol
- EGP : External Gateway Protocol
- Distance-Vector 알고리즘 : 벨만-포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거리와 방향 결정하는 알고리즘
- Linked-State 알고리즘 : 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단 경로 트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
- Path-Vector 알고리즘 : 거리가 아닌 가장 짧은 경로와 방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
- RIP :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UDP에서 사용(AS 내에서 사용, 15홉 제한)
- OSPF : Open Shortest Path First :: Flooding(변경내역 있을때만 전송)에서 사용
- BGP : Border Gateway Protocol :: TCP에서 사용(AS 상호간 데이터 전송)
반응형
<디지털 저작권 관리>
- 클리어링 하우스 : DRM 정산소
- 패키저 : 콘텐츠+메타데이터로 배포가능한 단위
- DRM컨트롤러 : 다운받은 콘텐츠 이용권한 통제
- 보안컨테이너 : 안전하게 유통하는 유통망
<절차형 SQL> : 프사트
- 프로시저 : 쿼리의 집합
- 사용자 정의함수 : 쿼리의 집합 + 단일값 리턴
- 트리거 : 삽삭갱 이벤트 발생시 자동으로 관련 작업이 실행되는 절차형 SQL
<객체지향 설계원칙> : SOLID
- S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책임의 원칙 :: 1클래스당 1목적(1책임)으로 설계
- O Open Close Principle : 개방 폐쇄의 원칙 :: 구성요소는 확장에는 열려있고 변경에는 닫혀있도록 설계
- L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리스코프 치환의 원칙 :: 하위클래스는 언제든지 상위클래스로 치환가능
- I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인터페이스 분리의 원칙 :: 사용하지 않는 IF는 구현 X
- D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의존성 역전의 원칙 :: 의존관계는 최대한 느슨하게 하여 추상을 매개로 메시지 교환
반응형
<방향그래프>
- 방향그래프 : 정점을 연결하는 선에 방향이 있는 그래프(E:Edge 간선, N:Node 정점)
- 최대 E : n(n-1) & 복잡도 V = E - N + 2(맥케이브 순환복잡도라고 함)
<형상관리>
- git : 리누스 토발즈가 리눅스 커널 개발을 위해 만든 분산형 형상관리 시스템
<지역성> : 시공순
- 시간 지역성 : 최근 사용된 메모리만 계속 액세스
- 공간 지역성 : 특정 페이지만 계속 액세스
- 순차 지역성 : 데이터가 항상 순차적으로 액세스
반응형
반응형
'I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4 (0) | 2023.09.02 |
---|---|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3 (0) | 2023.09.02 |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회차별 최종 정리-1 (0) | 2023.09.02 |
[2020년 1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0) | 2023.06.18 |
[정보처리기사 실기-10] 이것만 보면 합격-인터페이스 검증도구,APM,인터페이스 오류처리방법, 인터페이스7계층,데이터암호화전송방법,암호화 알고리즘 (0) | 2022.10.25 |